본문 바로가기
정보블록

2025년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및 신청 방법

by notion-log 2025. 2. 16.

2025년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및 신청 방법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2023년 처음 도입된 금융지원제도로, 2025년 올해부터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가입 조건에 해당하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여 정부가 지원하는 추가 지원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하락하는 예적금 금리에 최대 9% 금리 효과를 누릴 수 있어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현재 총 가입자는 166만 명까지 늘어, 벌써 가입 가능한 청년 추산인구(600만 명)의 28%에 도달했다고 하는데요.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과 신청 방법을 잘 알아보신 후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2025년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및 신청 방법

 

 

목차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  나이 조건

  • 만19세~34세 청년 (1991년 1월 1일 ~ 2006년 12월 31일 출생자)
  • 병역 이행자는 군복무 기간만큼 연령 초과 가능 (최대 6년)

✅  소득 조건

  • 개인 총급여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 확인한 경우, 전전 연도 소득으로 인정

 가구 조건

  •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250% 이하
  • 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미성년자)를 기준으로 판단

 

 

청년도약계좌 혜택 및 정부지원금

청년도약계좌는 만기 5년 동안 월 최대 70만원 한도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한 적금 상품으로 최대 6%의 금리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만기 시 정부기여금까지 고려하면 최대 9.54%의 금리 효과를 보는 셈이니 요즘 같은 예적금 저금리 시대에 신청하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  청년도약계좌 3가지 혜택

  1. [정부기여금] : 납입액에 비례해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지원
  2. [비과세혜택] : 납입액 + 정부기여금에 대한 이자소득세 0원
  3. [소득 + 우대금리] : 저소득층 청년 대상 일정수준의 우대금리 제공

 

 

 

📌  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 

개인소득(연소득, 총급여) 월 최대 기여금 작년대비 증가액
2,400만원 이하 33,000원 +9,000원
3,600만원 이하 29,000원 +6,000원
4,800만원 이하 25,000원 +3,000원
6,000만원 이하 21,000원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는 매 월 계좌 개설 신청 가능한 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청년도약계좌 개설을 희망하고 있다면, 미리 금융위원회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신청 가능한 일정을 확인해 본 후 신청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일정 알아보기

 

1. [매월] 청년도약계좌 발행 은행에 가입 신청

2. [신청 후 약 2주]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가입 심사 

3. [다음달 초] 가입 신청한 은행에서 계좌개설 안내

 

 

 

청년도약계좌 신청가능 은행

청년도약계좌는 6개 시중 은행과 4개 지방 은행에서 가입이 가능합니다.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기업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2025년 개선사항 (작년과 달라진 점)

 정부 기여금 지원 확대

작년에는 월 최대 2만4천원까지 지급했지만, 올해부터는 월 최대 3만3천원까지 지급해 줍니다.

 

  3년 이상 유지 시 혜택 강화

만기(5년) 도래 전이라도 3년 이상 계좌를 유지한 후 중도해지 하는 경우, 비과세 혜택 유지 및 기여금 지급 유지(60%)

 

 성실 납입 시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부여

2년 이상, 800만원 이상 납입 시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최소 5~10점 부여(KCB, NICE 기준)

 

 2년 이상 가입자 대상 부분 인출 서비스 도입 (2025년 하반기 예정)

 

 

 

자주 묻는 질문 (Q&A)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시 정부기여금 유지조건, 계좌 신청 시 가구원 소득의 영향 등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